중등 독서퀴즈

청소년을 위한 환경 교과서 독서퀴즈 독후활동 질문

P연구소장 2025. 2. 13. 09:00
반응형

청소년을 위한 환경 교과서. 기후변화에서 미래 환경까지

클라우스 퇴퍼, 프리데리커 바우어 공저, 이수영 역. 사계절 출판사

 

신음하는 에덴동산 

인간은 아주 예민하게 작동하는 자연의 대순환 과정에 어느 때보다도 깊숙이 관여하고 있으며, 그 대가는 혹독하다. 하지만 그 대가를 치르는 사람은 자연을 훨씬 더 많이 이용하면서 복지를 누리는 선진국 국민이 아니라 (가난한 나라의 국민들)이다. (10) 

선진국 사람들은 하루에 1인당 6000와트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 지구의 건강을 위해 1인당 하루 전기 2000와트 사용이라는 (에너지 다이어트)의 실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때이다. (10-11) 

 

1. 빈부 문제 

한쪽은 인구 (증가)와 (짧은) 수명으로 대변되는 사회이고, 다른 쪽은 인구 (감소)와 (긴) 수명이 특징인 사회이다. 이 두 가지 현상은 지구상에서 함께 나타나고 있다. (19) 

점점 줄어드는 (젊은층)이 어떻게 점점 많아지는 (노년층)을 부양할 것인가? (23) 

일반적으로 가장 (가난한) 나라에 사는 여성들이 여전히 가장 많은 아이를 낳는다. (25) 

문제의 본질은 식량 부족이 아니라 (부의 불균등)에 있다. 세계 전체로 보면 모두에게 돌아갈 빵은 충분한데 그것이 골고루 분배되지 않아 사람들이 굶고 있는 것이다. (26)  

세계보건기구는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가 10억 명에 이른다고 발표했는데, 그것은 (굶주리는 사람)보다 많다. (26)  

재프리 색스가 주장한, 심각한 빈곤을 야기하는 열악한 환경은 무엇인가요? 세 가지 찾아보세요. (28) 

- 에이즈나 말라리아 같은 질병 

- 도로나 항만 같은 인프라의 부족 

- 모기장이나 펌프같은 테크놀로지의 결핍 

가난한 나라들은 빈곤과 인구 증가의 악순환에서 자력으로는 빠져나오지 못한다. 이들 국가를 돕는 것을 자선이나 자비 행위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 그것은 자선이 아니라 전적으로 우리 자신의 이해관계에 따른 행동이다. 왜냐하면 개발도상국에 대한 투자는 세계를 좀 더 (안전한 곳)으로 만들고, 빈곤 때문에 생겨나는 (난민)과 (사회적 갈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28) 

세상은 모든 사람의 (필요)를 채워 주기엔 넉넉하지만, 모든 사람의 (탐욕)까지 채워 줄 정도는 아니다. (30) 

백색 유전공학이란 (산업적) 생물공학, 녹색 유전공학이란 (농업적) 유전공학을 말한다. (31) 

(멘델)은 식물의 열성을 솎아 버리고 우성을 취하는 방법을 썼는데, 사람들은 이 방법을 농업에 도입함으로써 식물의 유전자 구조에 직접 개입하지 않고도 수확을 엄청나게 증대할 수 있었다. (31) 

기아는 무엇보다 식량 증대와 (분배)의 문제이다. 32 

한 여성이 아이를 몇 명 낳을 지는 그 여성이 교육 혜택을 받았느냐, (피임 도구)를 사용해도 되는 사회에 살고 있느냐 하는 문제이다. (33) 

 

2. 블루 골드 

지구상의 물 중 97퍼센트는 염분이 함유되어 마실 수 없는 바닷물이고, (담수)는 겨우 3퍼센트일 뿐이다. (38) 

물 소비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공급 비용)이 올라간다. (41) 

전 세계 식수의 70퍼센트는 경작지와 목초지, 대규모 농장, 비닐하우스 같은 (농축산업) 용수로 사용된다. (44) 

우리가 샤워와 목욕, 양치질, 요리를 하면서 직접적으로 소비하는 물의 양은 적다. 그러나 생산 과정에서 물이 필요한 식품이나 제품을 통해 (간접적으로) 소비하는 물의 양은 훨씬 더 많다. (45) 

지난 200년 동안 세계의 수많은 하천들은 (자정 능력)이 한계에 부딪힐 정도로 심하게 오염되었다. (51) 

따라서 ‘물의 재활용’에 대한 투자, 특히 (하수 정화 시설)에 대한 투자는 사용 가능한 물의 양을 늘릴 수 있는 좋은 방책이다. (52) 

식수 소비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는 (농업) 분야는 현재 소비량의 50퍼센트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53) 

사막성 기후에다 강수량과 지하수가 감소하고 인구까지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근동과 중동이 (물 분쟁 위험 지역)이다. (55) 

 

3. 세계의 허파 

종려유(팜유)를 생산하기 위해 나무를 마구 베어 버리는 바람에 열대우림이 파괴되어 엄청난 넓이의 숲이 사라지고 있다. 종려유가 (바이오 연료)를 만드는 데 이용되기 떄문이다. (바이오 연료)는 이산화탄소를 뿜어내지 않는 청정에너지라는 이유로 각광을 받았지만, 숲을 파괴하고 생물종을 희생시킨다면 그 효용성에 대해 다시 한 번 깊이 고민해 봐야 할 것 같다. (63) 

현재 세계의 약 20억 인구가 오로지 (바이오매스)를 에너지원으로 삼아 살아가고 있다. 다시 말해서 나무를 비롯해서 농산물 찌꺼기와 쓰레기, 배설물을 이용해 요리를 하고 난방을 하는 것이다. (64) 

일단 시장에 나오면 불법으로 (벌목)된 나무를 확인하기는 무척 어렵다. 그래서 원산지에서부터 최종 상품에 이를 때까지의 전 과정을 나무에다 표시하는 인증 제도가 빨리 정착되어야 한다. (68) 

숲이 사라지는 이유는 사람들이 (주거 공간)과 (목초지), 그리고 (농경지)를 확보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69) 

숲은 세계적으로 점점 줄고 있는 (담수)의 저장고이자 물의 정화 시설이다. 나무의 억센 뿌리는 지반을 안정시키고 침식을 막아 주며, 물과 얼음, 바람 때문에 일어나는 산사태를 예방한다. (72) 

모든 인간은 어디에 살건 자연을 온전히 지키기 위해서 생태계가 감당할 수 있는 만큼만 자연에서 빌려 써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지속가능성)의 개념이다. (73) 

숲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네 가지를 찾아 보세요. (74) 

- 동식물의 안식처 

- 자동 온도 조절기 

- 물을 저장하고 정화하는 수조 

- 깨끗한 공기 제공 

지금까지 산업화를 앞세워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면서 지구를 오염시킨 주범은 바로 (선진국)들이다. 반면 열대 지방의 가난한 나라들은 산업화 혜택을 누리기는커녕 선진국들 대신 환경 파괴의 대가를 치르고 있다. (76) 

숲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요? 네 가지를 찾아 보세요 (76-77) 

- 풍부한 숲을 가진 나라에게 경제적 지원 

- 공동 개발 

- 원목 생산 국가들에 유리하게 관세와 수입 절차 정비 

- 환경 친화 증명서가 붙은 목재 가구만 구매 

 

4. 줄어드는 노아의 목록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종보존위원회에서는 2년마다 전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에 놓인 동식물의 목록을 발표하는데, 그것이 바로 (적색 목록)이다. (81) 

생물 종이 줄어드는 원인을 네 가지 찾아 보세요. (83-84) 

- 생활 터전을 뺴앗음 

- 동물 사냥 

- 희귀 동물 채집 

- 약학적 동기에서 비롯된 약탈 

국제사회는 멸종 위기에 놓인 동식물의 거래를 제한하는 협약인 (워싱턴 종 보존 협약)을 체결했다. (88) 

종의 다양성에 대한 이론들 (91) 

나사못 가설: 나사못 가운데 하나만 빠져도 치명적인 사고가 일어날 수 있듯이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에는 모든 종이 필요하다. 

승객 가설: 생태계가 존속하기 위해선 핵심적인 종 몇 개만 있으면 된다.  

중복 가설: 처음엔 종의 기하급수적인 증가가 생태계에 큰 이익을 가져다주지만, 어느 수준을 넘으면 더 이상의 추가되는 효과는 없다. 

열대 지방의 해변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맹그로브) 나무는 소금물도 이용할 수 있다. 이 능력을 유전적으로 해독해 낼 수만 있다면 줄어드는 물 문제를 해결할 훌륭한 방법도 나올 것이다. (92) 

생물종이 이대로 계속 감소하면 자연 자체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서서히 잃어버릴지도 모른다. (92) 

종의 감소를 멈추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세 가지 들어보세요. (93-94) 

- 보호 구역을 더 지정한다. 

- 선진국이 자연의 원형이 보존된 나라를 도와야 한다.  

- 자연친화적으로 일한 농부에게 국가가 보상을 한다. 

 

5. 휘청거리는 바다 

물고기 (남획)(overfishing)으로 식용 생선의 4분의 3이 줄어들었다. (101) 

대형 어선들의 (싹쓸이 조업)으로 바다 속에 물고기들이 많지 않다. (103) 

사람들이 먹는 물고기를 양식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해 낼 경우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104-105) 

- 물고기의 먹이로 줄 물고기를 잡아 와야 해서 더 많은 물고기를 필요로 한다. 

- 전염병과 질병의 위험이 커져 항생제를 먹이게 된다. 

- 환경 파괴 

비료가 바다로 흘러 들어갈 경우 생기는 문제는 무엇인가요? (108) 

- 해조류가 비료를 섭취해 대량으로 늘어나고, 바다 속 산소가 줄어들어 바다 속 생물들이 죽는다. 

 어류의 전체 개체 수가 회복되려면 집중 어로 지역과 (바다 보호 구역)을 번갈아 가며 지정해야 할 것이다. (109) 

바다는 화석 연료가 연소될 떄 대기 중에 뿜어내는 (이산화탄소)의 3분의 1을 흡수한다. (110)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바다가 (산성화)된다. (110) 

바다가 산성화되면 (산호초)가 죽는다. (111) 

더운물은 찬물보다 밀도가 낮아 부피가 크기 때문에 수온이 높아지면 바다의 (수위)도 덩달아 올라간다. (112) 

극지방의 빙하가 녹으면 얼음 밑에 갇혀 있던 (메탄)이 대기 중에 그대로 방출되면서 강력한 온실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112) 

 

6. 버리는 습관을 버리자 

(순환 경제)란 상품을 만들기 위해 투입된 원료가 상품의 수명이 끝난 뒤에도 다시 완벽하게 다른 상품으로 거듭나도록 순환이 이루어지는 경제 체제를 말한다. (121) 

특수 폐기물 처리장 설치에 관한 문제가 불거지면 주민들은 하나같이 그런 시설이 자기 동네에 들어서는 것을 반대한다. 이른바 (님비) 현상이다. (125) 

(바젤 협약)은 선진국에서 유독성 폐기물을 개발도상국으로 수출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125)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은 독성이 강한 잔류성 화학 물질로, 공기와 바다를 통해 전 세계로 퍼질 수 있다. (127)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자의 의무로 정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132) 

- 상품의 마지막 쓰레기까지 생산자가 책임져야 한다고 법으로 정해 두어야 한다. 

 

7. 미래의 징후들 

(날씨)는 시시각각으로 변한다. 반면 중장기적인 (기후)는 다르다. (기후변화)는 훨씬 느리게 진행되지만 대신 좀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139)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0년간 진행되어 온 세계적 차원의 온난화는 인간이 배출한 (온실가스) 때문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140) 

자연적인 (온실효과)가 없으면 지구는 지금보다 30도 이상 기온이 떨어지고, 어떤 생명체도 살 수 없는 곳으로 변할지 모른다. (140) 

이산화탄소 배출의 4분의 3이 인간이 사용하는 (화석연료)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141) 

(멕시코 만류)가 힘을으면 지구 온난화의 일반적인 추세와는 반대로, 유럽은 추워질 것이다. (142) 

(영구동토)는 연중 기온이 0도 이하로 사시사철 얼어 있는 땅이다. 어떤 학자들은 이곳이 녹을 경우 땅 밑에 얼어붙어 있던 메탄이 대기 중에 그대로 방출되어 기후변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염려한다. (147) 

‘생태적 공격’의 가장 큰 피해자는 누구인가요? (149) 

- 가난한 나라 사람,  자연에 의존해 살아가는 사람 

미국이 교토 의정서에 반대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150) 

- 에너지 소비를 줄이면 경제가 타격을 입을 것이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때 필요한 배출권은 (탄소 배출권)으로, 기업간 이를 거래할 수 있다. (153) 

 

8. 자원이 고갈되면 

기름 값 급등으로 좋은 점도 있다. 미국인들도 처음으로 (석유)가 빠듯해지거나 아예 없는 시대를 생각하게 되었고, 에너지 절약을 당면 과제로 삼으려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159) 

(석탄)은 식물, 즉 바이오매스가 오랜 기간 밀폐된 땅속에 묻힌 상태에서 엄청난 압력과 열을 받아 분해되면서 생긴 퇴적암이다. (162) 

작은 생물들의 시체가 쌓인 해저에 진흙이 뺵뺵이 둘러싸고 그 위에 흙더미가 차례로 퇴적된다. 그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공간이 생긴다. 이 공간 안에서 박테리아가 유기물들을 좀 더 단순한 화합물로 분해한다. 이 화합물이 압력과 열을 받아 생성된 탄화수소 혼합물이 바로 (원유)이다. (163) 

(화석연료)는 전 세계 에너지 수요의 8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165) 

최소한 수백만 년 이상 화석연료 속에 저장된 (태양 에너지)를 고작 몇 년 안에 다 써 버리고 있는 것이다. (166) 

(청정 석탄)이란,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화력 발전소의 환경 친화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모든 기술적 방법을 의미한다. (167) 

(피크 오일)은 석유 생산량이 최대한 증가하다가 특정 시점을 기해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을 가리킨다. 그 뒤로는 본격적인 가격 상승이 시작될 것이다. (168) 

세계에서 세 번째 (산유국)인 이란이 석유 생산을 줄이거나 중단하면 세계 경제는 곧바로 타격을 입는다. (170) 

아프리카에서 발생하는 내전은 거의 대부분 석유 같은 (지하자원)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171) 

(배럴)은 원유와 다른 석유화학 제품의 부피를 재는 단위인데, 1(배럴)은 약 160리터에 해당한다.  

발전소는 천연가스와 석탄, 바이오매스 같은 1차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한다. 이것으로 수증기를 만들어 터빈의 회전바퀴를 돌리고, 그 힘이 다시 발전기를 움직인다. 발전기는 회전바퀴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꾼다. (174) 

원자력에 대한 여론이 갑자기 바뀐 결정적인 계기는 1986년 소련 (체르노빌)에 있던 원자로 건물에서 발생한 강력한 폭발 사고였다. (177) 

 

9. 미래의 대안 

(태양광) 발전의 원리: 집열판이 빛을 흡수하면, 전자가 함유된 집열판의 전지들이 빛에너지에 자극을 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다. (182) 

(태양열) 발전의 원리: 태양이 고무관을 데우면 그 안의 물이 따뜻해지는 것과 비슷한 원리 (182) 

태양 에너지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183-184) 

- 기후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물을 쓰지 않는다 

-어디에서든 쉽게 얻을 수 있다. 

-핵에너지처럼 위험하거나 무기화할 수 없다. 

- 화석연료처럼 분쟁이 일어날 수도 없다. 

그럼에도 세계 곳곳에서 여전히 태양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184) 

  • 태양 에너지는 생산 원가가 비싸다 

자연 과정 속에서 계속 다시 생성되는 에너지를 (재생 에너지)라고 한다. (184) 

낙하하는 물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방식을 (수력)이라고 한다. (186) 

댐을 건설할 때의 문제점은 무엇이 있나요? (186) 

- 물고기와 식물의 생태계가 파괴된다. 

- 마을 주민들이 모두 이주해야 한다. 

- 댐 바닥 청소에 막대한 비용이 든다. 

밀물과 썰물의 차이를 이용한 (조력)도 대표적 재생 에너지이다. (187) 

발전기와 연결된 회전 날개가 돌아가면서 바람의 (운동 에너지)가 전기로 바뀌는 방식을 풍력 발전이라고 한다. (189) 

풍력 발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190) 

- 경관을 해치고 

- 소음 발생 

- 새가 빨려들어갈 수 있다. 

자연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끊임없이 붕괴되면서 생기는 것이 (지열)이다. (191) 

태양 에너지나 풍력과는 달리 지열이 갖는 장점은? (191) 

- 1년 365일 밤낮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바이오매스는 원래의 식물이 성장 과정에서 흡수했던 양만큼만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뿐, 그 이상 배출하는 것은 없다. (193) 

밭에 키우는 품종을 무작정 바이오매스로 바꿔 심는 것은 (식량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196) 

(선 디젤)은 더 이상 사용 가치가 없는 폐목재, 짚이나 식물 줄기 같은 유기 물질을 초고속으로 화석연료의 생성 과정을 거치게 해서 만들어 내는 바이오디젤이다. 이 연료는 휘발유보다 유해 물질을 적게 배출할 뿐 아니라 유채나 에탄올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198) 

전기를 사용하여 물에서 분해한 (수소)는 앞으로 무한한 에너지 자원이 될 수 있다. 저장하기도 쉽고 활용 가능성이 다양하다. (198) 

본격적으로 수소 경제 체제에 들어가는 것이 30~40년 안에는 불가능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200) 

- 수소를 기존의 연료와 섞을 수 없어서, 완전히 다른 기반 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10. 하나로 연결된 세상 

마디마디 쪼개져서 상품을 생산하는 (분절화 시스템)은 세계 경제의 일상이 되었다. (204) 

수차례의 운송에 따르는 (온실가스)의 배출과 환경 부담을 감안하면, 이런 식으로 상품을 생산하는 것이 결코 싸다고는 말할 수 없다. (205) 

낙관론자들은 세계화를 (동반 성장)과 (빈곤 퇴치)의 좋은 기회로 본다. (206) 

반면 비관론자들은 세계화가 (자국의 일자리)를 없애고, (빈부 격차)가 더욱 심해지게 만들고, 잦은 운송으로 (대기)를 오염시키고, (자원)을 낭비한다고 지적한다. (207) 

세계화를 가능케 한 세 가지 조건은 무엇인가요? (208) 

-  개선된 운송 능력 

- 국가 간 관세 인하 

- 통신 혁명 

인터넷 이용자의 전형은 선진국의 도시에 살고, 영어를 할 줄 알고, 교육 수준이 높고, 부유한 남성층이다. 반면 가난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이런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에 아예 접근조차 할 수 없다. 이것이 (디지털 격차)이다. 한쪽은 점점 더 긴밀하게 세상과 소통함으로써 경쟁력이 높아지는 반면, 다른 한쪽은 세상의 수많은 정보들과 단절된 채 계속 뒤쳐진다. (209) 

싼 운송비의 대가로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라는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있다. (211) 

항공은 (등유) 소모량도 많고, 공항을 짓기 위해 차지하는 (면적)또 너무 크다. (212) 

대기 오염, 도로 마모, 소음 공해 방지 등 (외적 비용)이 운송비에 포함되지 않았다. 유류세에 이를 반영하면 환경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13) 

(경제)가 공기, 숲, 물을 해치면서 발전하면 그걸로 이익을 보는 사람은 극소수이고, 즐거움도 오래가지 않는다. (217) 

(환경 자본)의 손실이 실물 경제의 손실로도 나타난다. (218) 

 

너와 나의 행동에 달려 있다. 

(선진국)들이 먼저 기존의 소비 습관을 버리고 자연에 부담을 덜 주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열중하지 않는다면, (개발도상국)들도 지나치게 많은 자원의 소비를 멈출 리 없다. (224) 

효율성 외에 소비와 욕구를 줄이고 부족한 대로 만족하고 사는 (절제된) 태도가 꼭 필요하다. (225) 

 

 

독후활동 독후감 독서 중등 중학생 문해력 독서퀴즈 독서논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