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독서퀴즈

지리산을 살리러 돌아온 동물은 독서퀴즈 독후활동 질문

P연구소장 2024. 12. 5. 00:08
반응형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 1 생태계 지리산을 살리러 돌아온 동물은?

사회평론 과학교육연구소, 이현진, 김형진, 설정민, 이명화 글

1. 식물이 흡수하는 것 세  가지는? 

물, 빛, 이산화탄소 

2. 식물의 세포 안에서 광합성을 하는 곳은 어디인가요? 

엽록체 

3. 공기 중에 수증기가 포함된 정도를 (습도)라 한다. 

4. 식물처럼 영양분을 스스로 만드는 생물을 (생산자)라고 한다.  

5. 강, 바다 같은 물 속 세계를 대표하는 생산자는 (식물 플랑크톤)이다.  

6. 심해에는 (황산화 세균)이라는 생산자가 사는데, 빛이 없어도 황화 수소로 영양분을 만들어 다른 생물에게 준다. 

7. 생산자가 광합성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만들어지는 (산소)는 다른 생물의 호흡에 도움을 준다. 

8. 다른 생물을 잡아먹어 그 생물의 영양분을 소비하는 생물을 (소비자)라고 한다. 

9. 생물끼리 먹호 먹히는 관계를 (먹이 관계)라고 한다.  

10. 어떤 생물끼리 먹고 먹히는 관계일 때, 잡아먹는 생물을 (포식자), 잡아먹히는 생물을 (피식자)라고 한다.  

11. 생물끼리 먹고 먹히는 관계를 순서대로 연결한 것을 (먹이 사슬)이라고 한다.  

12. 관광지로 유명한 ‘괌’이라는 섬에 어느 날부터 곤충이 늘어났던 까닭은 무엇일까? 

곤충을 먹고 사는 새의 대부분을 갈색나무뱀이 잡아먹었기 때문이다. 

13. 소비자가 생산자에게 도움을 주는 방법을 두 가지 작성해 보세요 

- 소비자는 식물의 씨가 멀리 퍼질 수 있게 도와줍니다. 

- 소비자가 숨을 쉴 때 내뱉는 이산화탄소는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재료로 사용됩니다. 

14. 주로 죽은 생물과 배설물, 생물이 버린 껍질이나 털 등을 아주 작게 분해하는 생물을 (분해자)라고 한다.  

 

반응형

15. 분해자가 배설물과 죽은 생물을 분해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영양분을 얻기 위함이다. 

16. 분해자는 살아 있는 생물에게 어떤 도움을 주나요? 

- 분해자가 배설물과 죽은 생물을 분해하면 생산자에게 꼭 필요한 무기 양분을 배출한다.  

17. 분해자가 많은 곳은 어디일까요? 

- 따뜻하고 습도가 높은 곳 

18. 분해자가 없는 곳은 어디일까요? 

 - 춥고 습도가 낮은 곳. 북극이나 남극, 극지방 

19. 분해자의 예시를 들어 보세요. 

- 세균, 곰팡이 

20. 분해자가 없어지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요? 세 가지를 들어 보세요. 

- 죽은 생물과 배설물이 쌓인다 

- 생산자가 무기 양분을 흡수하지 못한다. 

- 생산자를 먹고 사는 다른 생물도 살 수 없다. 

21. 생태계란 무엇인가요? 

생물 요소와 비생물 요소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세계 

22. 생태계를 이루는 것 중 빛, 산소, 이산화탄소, 물처럼 생물이 아닌 요소를 무엇이라 하나요? 

비생물 요소 

23. 생물의 종류와 수, 비생물 요소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균형을 이루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나요? 

생태계 평형 

24. 지리산에 곰이 사라지자 생겨난 문제가 무엇인가요? 두 가지 들어 보세요. 

- 나무가 늘어나 영양분이 부족해지다보니 나무들이 느리게 자라고 잎이나 열매를 덜 맺게 되었다. 

- 초식 동물의 수가 증가해 산에서 내려와 주변 논과 밭의 농작물을 먹게 되었다.  

25. 미국의 옐로스톤 국립 공원에서 늑대를 모두 사냥하자 벌어진 일은 무엇인가요? 두 가지 들어 보세요. 

- 수가 늘어난 초식 동물들이 식물을 모두 먹어 치웠다. 

- 강가의 땅을 잡아주던 나무들이 없어지면서 땅이 무너저 강물이 얕아져 물속 생물들이 사라졌다.  

26. 늑대처럼 한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의 종류와 수를 조절하여 생태계 평형을 이루게 하는 역할을 하는 생물을 (핵심종)이라 한다. 

27. 사람들 때문에, 혹은 우연히 원래 살던 곳을 벗어나 다른 곳에 살게 된 생물을 (외래종)이라 한다.  

28. 어떤 한 지역에 아주 오래 전부터 살던 생물을 (토종 생물)이라고 한다.  

29. 호주에 토끼가 늘어나면서 어떤 문제가 생겼나요? 두 가지 이상 작성해 보세요. 

- 풀과 나무를 모두 먹어치워 사막이 생겼다. 

- 다른 초식 동물들의 수가 줄어들었다. 

30. 많은 호주 사람들이 딩고를 울타리로 분리하지 말고, 사냥도 하지 말자고 주장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 딩고가 초식 동물을 잡아먹어 초식 동물의 수가 유지되고, 식물과 곤충, 쥐의 수 역시 적절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31. 한국에 들어온 황소개구리는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나요? 

우리 나라 생물들의 먹이 관계에 포함되어 생태계에 도움을 주고 있다. 

 

 

독후활동 독후감 독서 초등 초등학생 문해력 독서퀴즈 이태종nie 독서논술 초등 문해독서 중급 1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