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독서퀴즈

씨앗이 있어야 우리가 살아요 독서퀴즈 독후활동 질문

P연구소장 2024. 12. 7. 09:00
반응형

반다나 시바 글/알레그라 알리아르디 그림/김현주 역 책속물고기

 

1)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을 지키고 농민들이 씨앗을 보존하고 서로 공유하게 하자는 운동은?  

나브다냐 운동 (Navdanya) 이다. 

2) 칩코(chipko) 운동이란 무엇인가요? 

나무를 베러 오는 사람들에 맞서 나무를 꼭 끌어안는 운동. 울창한 숲이 돈을 만드는 도구가 되는 것을 막는 운동 

3) 사람들은 ‘가짜 숲’을 만들어 어떤 식물들을 심었나요?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식물 

4) 단일 경작이란 무엇인가요? 

여러 농경지에서 한 종류의 작물만 생산하는 방식 

5) 다국적 기업이 씨앗을 자기들의 ‘지적 재산’으로 등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농민들이 씨앗을 교배하거나 교환하는 것을 막아 농민들이 계속 씨앗을 사게 하기 위해서 

6) ‘씨앗은행’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나요? 

나브다냐 연합에 가입한 회원들이 씨앗을 보유하고 서로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다. 

7) ‘씨앗의 사티아그라하’ 운동은 무엇인가요? 

농민들이 씨앗을 보관하고 교환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에 시민들이 복종하지 않겠다는 뜻을 전하는 운동 

8) ‘토착종‘ 씨앗은 무엇인가요? 

농민들이 선택하여 50년 이상 심고 거두기를 반복한 씨앗 

9) ’갖춘꽃‘이란 무엇인가요? 

꽃 한 송이 안에 암술과 수술이 모두 있는 꽃. 

10) ’안갖춘꽃‘은 어떻게 번식하나요? 

벌이나 나비, 사람이 수꽃의 꽃가루를 암꽃에 옮겨 줘야 한다. ’타가 수분‘ 

11) 토종 씨앗과 잡종 씨앗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잡종 씨앗은 토종 씨앗처럼 자손에게 자신의 특징을 물려줄 수 없는 일회용 씨앗이다. 

12) ‘녹색 혁명’이란 무엇인가요? 

품종 개량, 농약 등 새로운 농업 기술을 이용해 적은 종류의 식물을 대량으로 재배하는 것.  

13) 나브다냐 농장에서 화학 비료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지렁이를 비롯해 유익한 미생물들이 있고 덕택에 기름진 땅이 된다.  

 

반응형

14) ‘산업화 농업’이 기존의 농사법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상품을 생산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 비료가 필요하다.  

15) 산업화 농업으로 먼 곳에 팔기 위한 농사를 지으면서 생겨난 변화는 무엇인가요? 세 가지 이상 들어 보세요 

- 굶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났다. 

- 농작물의 영양가가 떨어졌다. 

- 농작물 품종이 감소했다. 

16) ’터미네이터 씨앗‘이란 무엇인가요? 

열매에서 씨앗을 받아서 심어도 열매가 열리지 않는다. 

17) ’신토불이‘란 무엇인가요? 

우리 몸에는 우리 땅에서 난 농산물이 잘 맞는다는 뜻이다. 

18) 멕시코를 원산지로 하며, 또르띠야 등 요리의 기본적인 재료로 사용되는 작물은? 

옥수수 

19) 단일 경작이 위험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작물에 병이 생길 경우 피해가 어마어마하다. 아일랜드에서는 감자를 주식으로 삼았었는데, 감자에 잎마름병이 유행하자 75만명이 굶주리거나 병들어 죽었다. 

20) ’생물다양성‘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병충해와 자연재해가 있어도 농사를 완전히 망치지 않을 수 있다. 

21) 다국적 씨앗 회사는 왜 씨앗에 특허를 내려고 했나요? 

특허는 특허권을 보유한 사람, 즉 발명자가 자신이 특허를 얻은 제품을 판매, 배포, 사용하는 권리를 갖고 다른 사람은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도록 허락해 주는 것이다. 농부들이 직접 씨앗을 교환하는 것은 범죄가 된다. 씨앗 회사가 농부들에게 씨앗을 팔기 위해 농부들이 씨앗을 교환하는 것을 금지하려 했다. 

22) 토종 씨앗으로 농사를 짓는 것은 왜 중요한가요? 세 가지 이상 들어보세요 

- 토종 씨앗은 우리 땅과 기후에 적응해 화학 비료와 농약을 쓰지 않고도 농사를 지을 수 있어 건강한 먹을거리를 생산한다.  

- 지역마다 다양한 씨앗은 종 다양성이 유지되는 생태 환경을 만든다 

- 전통 먹을거리를 되살린다 

23) 씨앗은 수백만 년에 걸친 자연의 진화와 수천 년 동안 이어 온 인간 공동체의 진화의 결과물이다. 씨앗 회사들이 살아 있는 생명체에 특허를 내고 식물에 대한 (독점권)을 설정하려 하는 것은 부당한 방법으로 주민들의 지식을 장악하고 씨앗을 (상품)이나 (발명품) 취급하려는 것으로만 보인다. 

24) ‘생물 해적질’이란 무엇인가요? 

다국적 씨앗 회사들이 농민들이 만든 것을 빼앗는 것 

25) GMO란 무엇인가요? 

유전자 변형 생물 

26) 특허 계약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장인은 돈을 벌고 견습생은 일을 배우고 주민들은 생활이 편리해진다. 

27) GMO 씨앗을 만드는 다국적 씨앗 회사들의 약속은 무엇이고 어떻게 실패했나요? 네 가지 이상 들어 보세요. 

- GMO 식물은 생산량이 많을 것이라 했지만 실제로는  생산량이 많지 않았다.  

- GMO 식물은 해충에 강하다 했지만, GMO 식물이 자체적으로 생산한 독소가 인체에서도 검출되었으며, 유익한 곤충도 죽였고, 해충들은 내성이 생기게 했다. 

- GMO 식물은 잡초에 강하다 했지만, 실제로는 제초제에 내성이 생긴 식물들이 자라났ㄷ. 

- gMO 식물은 기후 변화에 강하다 했지만, 그 정도 특징은 토종 씨앗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GMO 식물은 건강에 안전하다고 했지만, 국제보건기구는 모든 유전자 변형 식물이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없다고 했다. 아직 잘 모른다. 

28) 같은 작물을 오랫동안 대규모로 계속 재배하다 보면 흙에 어떤 일이 생기나요? 

흙에 영양분이 부족해진다. 

 

 

독후활동 독후감 독서 초등 초등학생 문해력 독서퀴즈 이태종nie 독서논술 초등 문해독서 중급 1호

반응형